말을 잘하기 위해서는 많은 것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습관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평소에 하는 습관이 긴장될 때도 나오기 때문에, 평소부터 습관을 잘 잡아보자는 의미에서 자료들을 찾아서 정리를 해보고자 한다.
습관
1. ‘그냥’을 빼고 ‘주장, 이유, 근거’의 순으로 말하라!
- 가벼운 주제라도 '주장‘을 했으면 ’ 이유와 근거'를 함께 말하는 습관을 만드세요.
- 이유와 근거의 차이
- 카고대학 영어영문학과 명예교수이자, 미국의 글쓰기 문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조셉 윌리엄스의 <논증의 탄생>에서 ‘이유와 근거’에 대해 아주 명쾌하게 설명
- 이유) “자신이 생각한다.”입니다. 자신의 머리로 생각하는 게 이유라는 거죠.
- 근거) “자신이 생각하지 않는다.”예요. 근거는 '바깥세상'에서 끌어온 것이라는 거죠.
(주장) 단어를 이미지와 결합시켜서 저장하면 더 잘 기억할 수 있습니다!
(이유) 우리의 양쪽 뇌를 모두 사용해서 효율적으로 내용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근거) 서울대학교 병원 신민섭 교수는 단어로만 기억하면 쉽게 잊어버릴 수 있지만 그 단어들을 시각적인 이미지와 결합시켜서 저장한다면 더 잘 기억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구체적인 근거) 왜냐하면 단어는 좌뇌가 저장하지만 시각적인 정보는 우뇌가 저장합니다. 그래서 사람, 나무, 집 그럴 때 '아~ 집 앞에 나무가 서있고 그 앞에 사람이 있다'처럼 머릿속에 그림을 그리고 이미지를 떠올리면 나중에 금방 기억할 수 있습니다.
2. ‘피라미드 구조’를 활용해 생각을 정리하라
아래와 같은 예제로 주장 이유 근거를 피라미드 형태로 만들면 좋다고 합니다.
3. ‘두괄식, 미괄식, 양괄식’을 이해하고 말하라
두괄식은 말을 할 때 주장을 말하고 이유 근거를 말하는 방식을 말해요. 피라미드 구조에서 중심 토픽, 주요 토픽, 하위 토픽 순으로 말하는 것이죠. 한 마디로 주장, 이유, 근거 순으로 명쾌하게 말하는 걸 두괄식이라고 해요.
저는 제주도 여행을 추천합니다. 왜냐하면 이유가 크게 3가지가 있는데
첫째, 둘째, 셋째. 이런 이유가 있습니다. 이에 대한 근거는 이것입니다.
미괄식은 이유 근거를 말한 뒤 그래서 결론이 뭔지를 말하는지 말하는 방식이에요. 피라미드 구조에서 주요 토픽, 하위 토픽을 먼저 말한 뒤 결론인 중심 토픽을 말하는 거예요. 궁금증을 유발하면서 집중시키는 화법이 바로 미괄식인데요. 미괄식의 장점은 상대방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요.
김포에서 1시간이면 갈 수 있는 여행지, 맛 집이 엄청나게 많은 여행지,
세계 7대 자연 경관으로 인정받은 여행지가 어딘지 아시나요?
그곳은 바로 제주도입니다.
양괄식은 주장을 말하고 이유 근거를 말한 뒤 다시 한번 더 강조하기 위해 주장을 말해주는 방식이에요. 주장을 말하고 이유와 근거를 말한 뒤 다시 한번 더 결론을 말하면서 메시지를 강조하는 거죠. 피라미드 구조에서 중심 토픽, 주요 토픽, 하위 토픽 순으로 말하고 다시 중심 토픽을 강조하는 거예요.
저는 제주도를 추천합니다. 왜냐하면 이런 이유와 근거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여러분들께 제주도 여행을 꼭 추천합니다.
4. 전공 분야에 대해서 읽고 한 줄로 요약해 보는 습관을 가지자(말하듯이 쓴다)
5. 질문받은 것은 따로 답변을 정리한다.
6. 비언어적인 태도(핸드폰 보지 않고, 상대의 말에 집중하는 태도, 겸손한 태도)로 상대와의 의사소통에 오해가 될 신호를 줄인다.
7. 경청을 하고 적절한 질문을 한다. 질문만 잘해도 깊은 인상을 남길 수 있다.
오해 및 주의 사항
- 입에서 나오는 대로 말하면 안 된다.
- 하나의 주제를 마무리 지은 다음 다른 주제로 건너가라. 무엇보다 의식적으로 대화의 흐름을 잡아나가야 한다.
- 자기 이야기만 하지 않도록 경계하자
- 평소에도 대화 중 나만 말하는 것 같은 싸한 느낌을 받으면 자연스럽게 말을 마무리 짓고 상대에게 대화의 키를 넘기면 좋다.
- 확신을 버려라
- 더 괴로운 건 사소한 이슈에도 항상 자기주장을 내세운다는 점이다. 대화라는 건 생각과 생각을 나누는 행위다.
- 가르치려 하지 마라
- 일다 귀를 열어라 (대화에 집중하자)
- 불필요한 이야기는 하지 마라 (요즘 파악이 어려워진다)
- 지나치게 길게 이야기하지 마라
- 말을 어눌하게 하지 말자
- 촬영을 하면서 문제점을 개선하자.
- 나르시시즘에 빠진 대화법을 하지 말자
- 나는... 나도.. 이런 식으로 모든 대화를 자신의 이야기로 넘어가는 것을 말하는데 그러지 말자
- 말을 재치 있게 하라
- 말 한마디에 따라 대화의 분위기를 바꾸는 것 역시 말을 잘한다고 느끼기 충분한 요소임을 잊지 말자.
참고) 아래 글들을 참고하였습니다.
아래 글들도 같이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www.saramin.co.kr/zf_user/white-paper/office-view?paper_seq=97 |
https://univ20.com/20921 |
https://m.blog.naver.com/ganji0608/221922160946 |
'생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년 10월 알뜰폰 요금제 정보 제공 유튜브 (0) | 2021.10.08 |
---|---|
디즈니 플러스 한국 요금제 출시 (0) | 2021.09.27 |
코로나 바이러스) 자가 격리 지원금 신청 알아보기 (0) | 2021.08.22 |
코브라 효과(cobra effect)란? (0) | 2021.08.22 |
삼성 케어 플러스 알아보기 (0) | 2021.08.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