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0 오피스텔 (종부세, 양도세, 취득세) 참고 : m.blog.naver.com/dh6994/222113172464 오피스텔 1가구 2주택 기준(종부세.양도세.취득세) 오늘은 오피스텔을 보유하면 1가구 2주택이 되는지?와 오피스텔을 포함하여 1가구 2주택이 될 경우 종부... blog.naver.com 오피스텔 구분 업무용 오피스텔 주거용 오피스텔 일반과세자 일반임대사업자로 등록해 오피스텔 건물분에 대한 부가세를 납부하고 다시 환급받은 뒤 매 달 임차인에게 세금계산서를 발행해주고 부가세 신고 해당 오피스텔에 전입신고를 하고 주거용으로 사용하는 임차인이 있거나 재산세 변동신고로 주택 재산세로 납부중이거나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세금은 크게 3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잘 모름,,) 종부세, 양도세, 취득세로 예상됨. 오피스텔 종부세(종합부동산세).. 2021. 2. 24. 종부세 양도세 알아보기 (20년 12월 21일 기준) 종합부동산세 : 세율 인상, 고령자 공제율 상향 2021년 1월부터 세율 인상 ◇양도소득세①: 단기 보유 양도세율 높아지고, 분양권도 주택수 포함 양도세는 2021년 1월 1일부터 소득세 최고세율이 기존 42%에서 45%로 오른다. 현재는 과세표준 5억원 초과 시 42%의 최고세율을 적용하고 있지만 2021년에는 10억원 초과 구간이 신설되면서 최고세율이 45%로 상향 조정된다. 2021년부터는 조정대상지역의 주택을 팔 때 분양권도 주택 수에 포함되어 양도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단, 2021년 1월 1일 이후 취득한 분양권에 대해서만 이 사항을 적용하고 현재 보유 중인 분양권은 해당하지 않는다. 2021년 이전에는 해당사항 x?? 또한 다주택자가 조정대상지역의 주택을 팔 때 적용하는 양도세 중과세율이 1.. 2021. 2. 24. 오피스텔 일반사업자 vs 주택임대사업자 vs 면세사업자 취득세차이 정리 일반사업자 일반사업자를 내고 오피스텔을 임대를 내줄경우 업무시설-상업용으로 보게 됩니다 어떠한경우에도 주택으로 포함되지않고 부과세 신고를하셔야합니다 만약 세입자가 임대를하고 전입신고를 할경우에는 과태료가 부과되고 건물의 부가세 환급조치가 내려질수도있고 세입자에게는 퇴거 명령이 떨어집니다. 임대인분들은 이부분을 계약때 특약에 잘 써야합니다 그리고 임차인도 부과세를 내야하기때문에 일반 주거용 오피스텔보다 임대맞추는거는 쫌더 어려울수있습니다 일반사업자를내고 오피스텔을 임대하는경우에는 오피스텔은 상가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쉽겠습니다 주택입대사업자 주택임대사업자를내면 오피스텔은 주택으로 사용한다고 볼수있습니다 지금은 신규는10년으로밖에 등록이 안되기때문에 매매가 필요할경우 포괄양도양수 하는방법으로 진행해야합니다.. 2021. 2. 24. HUG 임대보증금 서류 작성 방법 임대보증금 보증 가입 의무화 1년 유예로 아직 많은 사람들이 해당 사항이 있지는 않을 수도 있지만, 빨리 빨리 준비해야하는 사항이기 때문에 글을 남기게 됩니다. 유예기간에 속하신 분들은 2021년 08월 18일 이후에 체결되는 임대차계약 신규 또는 갱신, 임대차 변경시부터 보증보험 가입 의무화를 적용하게 됩니다. 2020년 8월 18일 이후에 등록한 임대사업자의 경우에는 1년의 유예기간 없이 보증 보험 가입 의무화의 적용을 받으니 주의!!!! 계약하고 3개월 이내에 해야하기 떄문에 시간적으로 굉장히 중요합니다. 다들 헷갈리시겠지만, 참고해서 보시면 좋을 것 같아 공유합니다. 자세한 것은 보증 지사에 방문해서 물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1년 2월 23일 개정된 유튜브 www.youtube.com/wat.. 2021. 2. 24. 이전 1 ··· 7 8 9 10 다음